기면증-과수면증 꿀잠지킴이 2020. 7. 31. 05:00
가이드라인은 혼동하기 쉬운 내용들을 하나의 기준으로 정리해둔 겁니다. 주로 정책 발표 시 사용되지만 의료 쪽에서도 종종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면장애는 다른 질병들에 비해 연구 기간이 짧고, 현재까지도 정확한 원인과 증상이 밝혀지지 않은 것들이 많아 치료에 혼선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주기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기면병의 치료법 또한 유럽신경학회에서 가이드라인을 한 차례 발표한 바 있습니다. 물론 실제 치료 시에는 개개인의 증상을 고려하기 때문에 세부적인 사항들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만 전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알고 있으면 기면증 치료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므로 스스로 어떤 치료를 받는지, 또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
기면증-과수면증 꿀잠지킴이 2020. 7. 15. 05:00
과거부터 낮잠은 좋다 나쁘다로 말이 많습니다. 우리나라에선 2000년대 초중반까지도 낮잠을 나쁘게 바라봤는데요. 낮에 잠을 자면 밤에 잠을 잘 못 잘 뿐더러 해야할 일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의견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실제로도 낮잠을 자면 수면관성현상으로 인해 무기력함을 느낄 수 있고, 수면 패턴이 깨지면서 밤에 불면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반면 낮잠은 좋은 측면도 분명 있습니다.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혈압 안정, 안정감 유도, 집중력 강화, 의지력 상승 등이 있고, 독일 자를란트 연구진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적당한 낮잠은 기억력을 최대 5배까지 끌어 올려준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낮잠은 기면병 치료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기면병은 순간적인 졸음이 쏟아지고, 이를 의지로 참아내기 힘든 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