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AP 꾸준하게 쓰는 방법



CPAP 꾸준하게 쓰는 방법



CPAP, 우리나라에서는 양압기라고 불리는 장치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을 방지하는 의료기기입니다.


본체와 연결된 마스크를 쓰고 주무시는 것으로 수면 중의 호흡장애를 치료하지요.


기기를 사용해서 증상을 막는 치료법이기 때문에 꾸준한 착용이 치료효과를 좌우합니다.


몇 년씩 높은 사용률을 보이면서 치료하시는 환자도 있지만, 중간에 사용을 포기하는 환자도 발생합니다.


따라서 꾸준히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CPAP 압력설정이 중요합니다


CPAP의 정식 명칭은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양압지속유지기라고 번역하지요.


공기의 압력이 높은 상태를 지속시킨다라는 뜻입니다.


양압기는 공기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만들어서, 환자의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막아주는 방식으로 코를 고는 증상과 수면무호흡을 치료합니다.


그러므로 기기에 공기 압력설정을 하는 절차가 필요한데요.


CPAP의 치료효과는 압력설정이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공기의 압력을 낮게 설정하면 치료효과가 떨어집니다.


그러나 무작정 압력을 높게 설정할 수도 없습니다.


공기압이 높으면 치료효과는 좋지만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자면서 착용하는 것이 어려워지기 때문이죠.


자다가 잠에서 자주 깨거나 드물지만 가슴이 답답하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잠결에 마스크를 벗어버려서 아침에 일어나면 마스크가 다른 곳에 떨어져 있는 모습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이런 일들이 반복되면 불편함 때문에 사용하는 것을 꺼리게 되고, 결국 CPAP 기기는 먼지가 쌓여서 방치되기 십상입니다.


그러므로 치료효과는 좋으면서 환자가 불편하지 않은 적정수준의 공기압력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마다 신체구조적으로 조금씩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적합한 압력을 찾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잠자는 자세가 바뀌는 것만으로도 적정압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자동으로 압력을 조절해준다는 기기도 있지만, 아직까지는 자동으로 조절하는 센서에는 한계가 존재합니다.


오히려 개인에게 적합한 압력을 확인한 후 설정하는 것이 더 편안하고 효과적입니다.


하룻밤 동안 CPAP를 착용하고 주무시는 양압적정검사를 통해 개인에게 맞는 압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일 밤 양압유지기를 착용하고 주무시는 일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처음부터 제대로 적정압력을 설정하는 것이 지속적인 사용을 위한 첫걸음입니다.


따라서 양압적정검사 후 양압기를 처방하는 병원을 방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CPAP 평생환자관리시스템을 누려라


양압장치 치료가 대중화 된 선진국은 지속적인 사용을 돕기 위해 환자를 관리해주는 서비스와 가정에서 관리하기 어려운 부분까지 기기를 소독하는 서비스가 등장합니다.


미국은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비용을 지불해야 하므로 일부 환자들만 이러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환자들의 치료효과를 위해 국내의 한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 없이 평생관리시스템과 소독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도록 앞장서서 한국에 소개, 도입했습니다.


초반에 CPAP을 잘 사용할 수 있도록 세부적인 관리를 받고, 적응이 끝나면 1~6개월 주기로 의료진에게 실질적인 사용률을 높일 수 있도록 평생에 걸쳐 꾸준히 관리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기관리도 중요한 사항입니다.


CPAP은 호흡기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소모품 교체와청결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독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곳은 많지만, 어떤 방법으로 소독하는지는 다릅니다.


의료도구를 소독할 때 사용하는 전문의료기기로 소독하는지 확인해보세요.





지속적으로 양압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아직 치료를 시작하지 않으신 분들은 국내에 CPAP환자 평생관리시스템과 양압기 소독서비스를 국내에 도입한 병원에서 상담을 받아보세요.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