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수술, 위험하진 않을까?
-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 2018. 5. 24. 14:00
수면무호흡증수술, 위험하진 않을까?
코골면서 자다가 “컥컥” 비슷한 소리를 내면서 자는 사람들에게 가까이 다가가 손을 코 혹은 입에다가 대보면 아무런 촉감도 느껴지지 않습니다.
반드시 느껴져야 할 숨결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은 그 사람의 호흡이 멈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다행히도 그 사람은 다시 숨을 쉬기 시작하죠. 처음 거론한 소리와 함께 말입니다.
그래서 그 위험에서 벗어나고자 치료를 하려고 할 때 수면무호흡증수술은 오히려 더 위험해질 수 있다는 말에 꺼려지고 있습니다.
치료하는 과정에서 몸에 무리한 영향을 줘서 위험하다는 이야기로 들리실지 모르겠지만 그 속에는 재발의 위험성에 대한 내용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수술, 위험성 (1) 정말 위험하다는 이유
기본적으로 외과치료술은 기타 다른 치료보다 위험성을 갖고 있습니다.
신체에 인위적인 변화를 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당연한 소리죠.
수면무호흡증수술을 하는 부위는 주로 혀 뿌리와 연구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근본적인 원인이 막힌 기도에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영향을 많이 주는 조직들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부위 자체가 호흡과 관련이 깊은 기도이고 치료하는 부위 또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혀 뿌리 등이 포함되어 있기 있습니다.
여기까지의 내용을 보면 수면무호흡증수술은 받았다간 더욱 위험한 상황에 처할 것만 같은 느낌이 쑥쑥 솟아나게 됩니다.
그럼 외과적인 치료과정보다는 비 외과적인 치료과정에 눈길이 갈 수 밖에 없어요.
하지만 다행히도 과학기술이 발전하면서 집중 치료부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면서 치료에 대한 어려움이 많이 감소되었다고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수술, 위험성 (2) 재발의 위험성
무조건 몸에 무리가 가는 외과치료라서 위험하다는 이유와 함께 사람들이 꺼려하는 이유는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재발!
몸에 칼을 대는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결정을 내렸건만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죠.
그렇게 된 이유는 수면무호흡증수술을 행했던 의료진의 경험부족을 들 수도 있겠지만 또 다른 이유는 막힌 기도를 여는데 집중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기타 주변조직들에 대한 치료가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그 결과 초반에는 효과가 나타나 치료가 된 것처럼 보이지만 근본적인 원인이 해결되지 않아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게 될 수 밖에 없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철저하게 기도를 막게 만드는 요인들을 찾아서 그 곳부터 해결하고 그 이후에 기타 다른 요인들을 정리하는 것이 순서입니다.
그걸 결정하는 것은 사람이 하기 때문에 집도의의 실력 또한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수술, 위험성을 모두 막으려면?
위에 열거한 두 가지의 위험에서 벗어나고 본인이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본인의 몸 상태를 정확히 체크 할 수 있는 눈을 가진 의료진과 최첨단 기술 및 장비를 보유한 병원이라는 답이 나옵니다.
장비라는 것은 구입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것은 돈이기 때문에 어떤 병원이라도 자금만 보유한다면 충분히 충족할 수 있는 조건입니다.
하지만 의료진 본인의 실력은 그 동안 쌓아온 경험과 지식이 바탕이 되지 않으면 얻을 수가 없죠.
숨수면클리닉은 본원 대표원장이 국내 10명 뿐인 미국수면전문의 시험을 통과했으며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을 중점적으로 행하고 있는 병원입니다.
그리고 여기에 첨단 장비가 더해져 치료가 잘 됐다는 정상화의 사례가 국내 뿐 아니라 아시아에서 가장 많습니다.
또한 앞서 열거한 재발의 위험성이 적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홈페이지를 통해 다수의 수면무호흡증수술 환자의 실제 검사자료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끊임없는 과학의 발전과 함께 그를 응용하여 외과의학 또한 같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과거에 시야가 부족해서 힘들었던 혀 뿌리 등의 수면무호흡증수술이 이제는 원활한 시야확보로 인해 실력 있는 의료진에게는 크게 어려운 치료가 아닙니다.
여러분이 갖고 있던 그 위험성에 대한 불안감, 숨수면클리닉이 다양한 증거들을 바탕으로 떨궈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