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9. 9. 20. 14:46
잠과 관련된 문제도 질병에 해당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수면장애 병원이라는 말을 들으면 아직 낯설게 느껴지곤 합니다. 그러나 건강하고 활기찬 일상을 위해서는 친숙해져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오래 자도 수면부족, 금새 잠에 빠져도 수면부족일 수 있기 때문이죠. 수면의 질을 높이는 수면장애 병원 수면부족이라고 하면 잠을 자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적은 것을 떠올리게 됩니다. 절대적인 수면시간도 중요하지만, 수면의 질이 낮다면 장시간 잠을 자고 일어나도 수면부족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흔히 일상에서 얕은 잠, 깊은 잠이라고 이야기하는데요. 의학적으로도 뇌파의 변화를 기준으로 수면단계를 4단계로 정의합니다. 그리고 수면클리닉은 깊게 잠드는 것을 방해하는 증상들을 질병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캐나다 토론토 대학..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9. 8. 13. 15:36
어린 아이들은 어두움을 무서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밤에 잠을 잘 때도 수면등을 켜놓거나, 방 바깥 공간의 불을 켜놓고 자는 분들이 많습니다. 도시에 사는 경우에는 외부의 가로등 불빛이나 다른 집에서 새어나오는 불빛이 창을 통해서 들어오기도 하구요. 그런데, 아주 약한 수준의 빛 공해도 수면에 방해가 되는 것은 물론 뇌 기능을 크게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고대 안암병원 이헌정, 윤호경 교수(정신건강의학과), 이은일 교수(예방의학과), 가천의대 강승걸 교수(정신건강의학과)팀이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야간의 약한 빛이 인간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젊은 남성 20명을 환경을 통제한 수면검사실에서 수면을 취하게 한 뒤 다음날 기능적 뇌자..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9. 7. 3. 11:57
2016년에 열린 미국수면학회(SLEEP) 연례학술대회에서 미국수면의학회(AASM)는 소아청소년에서 연령별 적정 수면 시간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습니다. AASM은 수면 시간과 건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다수 연구를 근거로 수면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을 완성했습니다. 가이드라인에서 특히 '총 수면 시간'을 강조하였는데요. 소아청소년기 부족한 수면시간으로 인해 나타나는 건강상의 문제가 성인이 되어서도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 인식하에 충분한 수면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한 것입니다. 연령에 따라 권고하는 적정 수면 시간은 낮잠을 포함해 다음과 같습니다. 4~12개월 영아는 12~16시간, 1~2세 어린이는 11~14시간, 3~5세 어린이는 10~13시간, 6~12세 어린이는 9~12시간, 13~18세 청소년은..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9. 6. 24. 15:47
저녁이 있는 삶... 정치적인 입장을 떠나 많은 이들에게 간절한 바람입니다. 세계적으로도 잠이 부족하기로 손꼽히는 우리나라 사람들은 잠을 줄였던 만큼 하루를 보람차게 보내고 있을까요?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에서 2014년 강북삼성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20∼40대 노동자 20만 2천 629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불안, 우울, 자살 생각의 상관관계'를 조사했습니다. 그 내용에 따르면 '적정 시간 잠을 자지 못할 경우 우울, 불안,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특히 "수면시간이 4시간 이하인 사람들의 불안장애 위험도는 적정 수면시간인 7시간을 자는 사람보다 최대 4배 이상이었고 우울증 위험도는 3.7배였다."고 합니다. 4시간 이하의 잠을 잔 ..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9. 6. 19. 11:17
미국의 랜드연구소가 발표한 이라는 보고서가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노동자의 수면습관이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것인데요. 이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노동자들의 수면부족이 자국 경제에 끼치는 손실비용이 연간 최대 4천110억 달러(약 482조1천30억 원)에 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미국 국내총생산(GDP)의 2.28%에 해당되는 상당한 비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의 근거로 랜드연구소는 "‘생산 인구의 수면부족이 높은 사망률과 낮은 생산성으로 이어짐에 따라 미국 회사들이 연간 작업 일수로 120만일을 손해 본다"고 평가했습니다. 보고서의 선임 저자인 랜드연구소 유럽의 마르코 하프너는 "노동자의 수면 습관이 노동자의 건강과 나라 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고 하면서 건강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