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갈이의 원인 - 수면중 각성장애
- 기타 수면질환
- 2013. 6. 13. 20:21
이갈이의 원인 - 수면중 각성장애
안녕하세요~ 숨수면클리닉 본원입니다.
잠잘때 코골이만큼 수면을 방해하는 소리가 있습니다.
바로 빠득빠득~ 하는 이갈이 인데요.
이갈이의 원인으로는 부정교합 등의 치아나 상-하악의 질환, 영구치로의 교환, 스트레스, 음주, 대부분의 수면질환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후군, 렘수면장애, 간질, 야경증)의 이차증세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주, 흡연, 카페인, 코코아와 각성제, 향정신성약물, 항우울제, 심장질환의 약물에 의해서도 이갈이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갈이의 원인 - 수면중 각성장애
이갈이는 대부분 수면중 각성시에 나타납니다.
이갈이의 원인 중 90%가 수면중 각성시에 일어나며,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직업을 가진 분들이나 의욕적인 성격의 사람들에게서 쉽게 발생합니다.
이갈이시 교합력은 정상적인 저작 시 보다 평균 두배 이상의 힘이 발생되며
교합면의 접촉 시간도 매우 길어지게 되어 치아가 심하게 마모됩니다.
치아는 치주 자극에 예민해지며 치아 수복물의 마모, 파절, 탈락을 쉽게
야기할 수 있고, 치주질환이 있는 치아의 동요도를 증가시킵니다.
치아 이외에도 이를 갈 때 생기는 강한 힘은 턱근육의 과부하, 과긴장을 야기시켜 턱관절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저작근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게 되어 저작근의 발달로 인해 사각턱이 되기도 합니다.
이갈이는 특별한 치아나 뇌의 이상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대적으로
수면중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동반질환의 치료를 먼저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갈이 치료
이갈이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수면중 각성장애 등의 수면질환 치료를 통해 쉽게 치료가 가능합니다.
이갈이 진단은 구강내 교합면의 비기능적 치아마모면에 대한 수면다원검사를 이용한 턱근육의 근전도검사를 시행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간질의 증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배제진단이 필요합니다.
수면장애 치료 후에도 이갈이가 계속된다면??
1. 약물치료
약물치료는 단기간 실시가 원칙이며 수면위생을 잘 지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완요법 등 단기간으로 치료를 끝내서는 안되며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합니다.
2. 교합장치
교합장치 치료는 착탈이 가능하며 대부분 상악에 장착하여 이갈이를 억제함으로써
장기적인 치아마모를 막아주고 턱관절 및 저작근 장애의 치료에도 이용됩니다.
3. 보톡스
보톡스 치료는 과도하게 긴장된 턱관절의 교근을 축소시켜
근육의 탄성과 압력에 의한 턱관절의 긴장을 풀어주는 치료방법입니다.
교근의 축소는 턱근육의 긴장을 풀어줄 뿐 아니라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대뇌로 전달되는
것을 줄여주어 감각 및 근육발달에 의해 발생되는 이갈이의 정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치료는 적정 기간을 두게되며, 최소 3회 이상의 치료가 필요합니다.
이갈이의 원인 중 90%는 수면중 각성장애에 의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갈이 치료는 수면질환 치료를 통해 대부분 치료가 가능하며 정밀검진을 통한
이갈이 원인 파악 및 적절한 치료를 통해 이갈이의 고통에서 벗어나실 수 있습니다!!
숨수면클리닉 서울본원 : 02-3416-0002
숨수면클리닉 일산본원 : 031-932-7800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