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중 이상행동 - 렘수면행동장애

수면 중 이상행동 - 렘수면행동장애

 

사건수면은 수면 중 일어나게되는 다양한 행동장애를 의미합니다.

대부분 증상이 경미하고 자주 발생하지 않아 의미가 있지는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주위에 불편함을 주거나 걱정을 주게되어 치료를 필요로 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을 수면 중 이상행동이라 부르는데요.

오늘은 수면 중 이상행동 중 렘수면행동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면 중 이상행동 - 렘수면행동장애

 

렘수면행동장애는 렘수면시 꿈속에서 일어나는 행동이 실제적으로 수면 중 나타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수면 중에는 근육이 약화되며 특히 렘수면시 호흡근과 안구근을 제외한 모든 근육이 마비가 됩니다.

하지만 렘수면행동장에 환자의 경우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근육의 수축 현상을 보입니다.

 

 

1. 특징적 증상

말하기, 웃기, 소리치기, 맹세, 제스처, 주먹질, 발길질, 앉거나 침대에서

뛰어내리기, 달리기, 기어다니기 등이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걸어다니지는 않으며 방을 벗어나는 일은 없으며, 대

눈을 감은 채로 주위 환경에 맞지 않는 꿈을 따르는 행동을 합니다.

음식을 먹거나 씹거나 음료를 마시거나 성적행동, 대소변을 보지는 않습니다.

렘수면행동장애는 환자와 같이 잠을 자는 사람의 안전이 가장 문제가 됩니다.

하지만 기타 수면질환이 동반되지 않는 한 낮의 피곤함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2. 발생

50대 이후 남성에게서 주로 발생합니다.

특이하게도 새로이 진단된 파킨슨병의 33%에서, 그리고 MSA(multiple system atrophy)의 90%에서 나타납니다.

65%에서 발병 이후 13년 이후 신경퇴행질환(파킨슨병, 치매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렘수면행동장애 악화유발인자

기존의 신경과 질환(파킨슨병, 치매, 기면증, 풍) 등을 앓은 경우와 우울증 약물을 복용한 경우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청소년기의 기면증(특히 탈력발작 치료)과 신경정신과적 치료와도 연관이 될 수 있습니다.

여성과 소아의 경우 원발성 렘수면행동장애는 드뭅니다.

 

4. 진단 - 수면다원검사

REM 수면시의 근전도의 지속적, 혹은 간헐적 활성화, 비디오 촬영시 팔 다리의 움직임,

자율신경계의 활성화는 드물며, 75%에서는 비꿈수면에서 주기성 사지운동 질환의 양상을 보입니다.

성인에서 나타나는 몽유병과 야경증과의 감별이 필요합니다.

 

 

숨수면의원 본원은 2005년 예송수면센터로 시작한 국내 선도적 수면클리닉 의원입니다.

미국수면전문의 시험을 통과한 대표원장의 진료가 가능하며, 수면장애를 가장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검사방법인 수면다원검사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미국수면전문기사를 통해 정규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수면 중 이상행동 - 렘수면행동장애 등의 수면장애로 인하여 고통을 받고 계시다면 숨수면의원 본원과 함께하세요!!

 

[링크] 수면 중 이상행동에 대해 상담하기 클릭!!

 

서울본원 : 02-3416-0002

 

일산본원 : 031-932-7800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