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치료법, 각종 합병증까지 해결!




수면 중 상기도에 완전 또는 부분적인 폐쇄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면서 공기의 흐름 제한, 산소포화도의 감소, 잦은 각성을 유발하여 다양한 야간, 혹은 주간 증상이 생기는 수면무호흡증.


무엇보다 이 무호흡증이 진짜 위험한 것은 고혈압, 당뇨병, 만성허혈심장병, 만성폐쇄폐병 등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시킨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무호흡증의 치료가 필요한데, 치료를 받고 나면 삶의 질을 상승시키며, 인기지능의 저하와 심혈관 질환, 대사증후군 등이 유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으로 어떠한 합병증들을 막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으로 해결하는 고혈압


무호흡증 치료를 통해 막을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는 고혈압입니다.


수면무호흡과 고혈압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혈압이 높은 환자의 30~83%에서 무호흡증이 나타납니다.


무호흡증은 수면무호흡으로 인한 간헐적 저산소증 또는 상기도저항 증가가 교감신경계 활동을 증가시키고, 심박출량 증가 또는 말초혈관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혈압을 상승시키는데, 이 때문에 혈압이 높은 환자가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을 진행하면 혈압이 감소되기 때문에 이러한 질환을 막을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으로 해결하는 심혈관질환


무호흡증과 심혈관질환과의 연관성은 대체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심혈관질환 환자가 일반인에 비해 수면무호흡의 유병률이 높다고 해서 무호흡증상이 그 원인이라 할 수는 없지만, 일부 역학연구에서는 두 질환이 서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면호흡장애로 인해 불규칙한 호흡과 부족한 호흡이 감지될 경우 폐, 혈액에 산소를 공급하는 심장이 무리한다 싶을 만큼 활동하는 현상이 발생하면서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최소 12년 후에는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17%정도 높아지며, 논문에 따라서는 10년 뒤 35% 정도의 사망률 증가도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무호흡증 치료를 받을 경우 정상과 비슷할 정도로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질환이 있다면 반드시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으로 해결하는 뇌졸중


수면호흡장애로 인해 동반된 고혈압과 심혈관질환은 뇌졸중의 위험인자로 작용하기도 합니다.


여러 중례보고, 환자와 대조군 또는 코호트연구, 실험연구는 무호흡증상과 뇌졸중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뇌경색 또는 출혈 등이 진행되는 동안 뇌는 피와 산소의 공급이 줄거나 받지 못해 손상을 입는데, 수면무호흡 시 혈중 산소량을 줄이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심장과 같이 뇌는 한쪽에서만 피를 공급받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이런 경우 일방 차선에 해당되어 피와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면 되돌이킬 수 없는 심한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뇌졸중 이후에도 무호흡은 적절한 산소공급을 방해하여 예후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치료가이 필요합니다.


뇌경색 이후 비정상적인 수면호흡을 보이는 경우 역시 치료 대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수면호흡장애는 위와 같은 질환들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 두통, 교통사고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잦은 각성과 산소포화도 감소 또는 고탄산혈증이 교감신경활동을 증가시켜 당뇨병, 비만 등의 위험성을 증가시킵니다.


또한 무호흡으로 인한 흉곽 내 압력 저하는 좌심실 긴장력과 심장의 산소 요구를 증가시켜 이런 질환의 위험성을 높이는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수면클리닉에 내원하시면 코골이와 무호흡증상의 근본적 원인인 좁은 기도를 확장시키는 기도확장술 등을 통해 수면무호흡증 치료법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수면 중 심하게 코를 골거나 심각한 호흡장애가 있음을 인지하셨다면 지금 병원에 내원하셔서 진단과 치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