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수술, 개인마다 달라요
-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 2018. 7. 10. 11:04
수면무호흡증 수술, 개인마다 달라요
분명 본인이 느끼는 증상과 세간에 알려진 병의 정보가 일치하고 의료진도 진료를 통해 그렇게 예측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럼 바로 치료에 들어가면 될 것 같은데, 추가적으로 검사를 진행할 때가 있어요.
이럴 때 환자는 조금 답답함을 느낄 수 있는데, 의사 입장에서는 예측을 확신으로 바꾸기 위한 하나의 방법입니다.
질병의 원인이 다양해지면 대부분 위와 같은 과정이 진행된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수면무호흡증 수술 또한 그렇습니다.
분명 뉴스기사들을 보면 기도가 막혀서 발생한다고 되어 있어요.
그럼 그 부분만 확인하고 바로 치료에 들어가면 될 것 같지만 기도 외에 여러 부분도 동시에 확인합니다.
수면무호흡증 수술 전, 원인을 찾아야 한다
근본적인 무호흡증의 원인은 막혀진 기도가 맞습니다.
그런데 기도가 막히는데 영향을 준 조직이 사람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그 조직이 무엇인지를 찾아야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면무호흡증 수술 전에는 여러 검사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코 질환으로부터 시작될 수도 있기 때문에 내시경을 실시하고 아래 턱이나 코 뼈 신체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현재 기도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3D CT촬영 등 해부학적 검사를 진행합니다.
또한 각 증상의 정도에 따라 치료의 강도가 달라질 수 있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이를 확인합니다.
의료기구 치료가 아닌 단 하나의 실수도 용납이 되지 않는 수면무호흡증 수술이기 때문에 오차범위를 검사를 통해 차근차근 줄여나가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 환자가 가진 원인에 따라 반드시 받아야 하는 치료법을 찾아내고 필요 없는 방법은 제거하여 환자분들의 부담을 최대한 줄일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수술, 성공률은 각자 다르다
무호흡증 환자를 보면 경증과 중등도 그리고 중증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수면 중 나타나는 호흡장애의 정도를 보고 세 단계로 나누는 건데요.
해부학적 검사를 통해 발견한 원인만 신속히 제거하면 될 것 같은데 증상을 단계별로 구분하는 이유는 그 사람이 수면무호흡증 수술을 받았을 때 어느 정도 기도를 넓혀야 되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각 사람마다 신체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현재를 기준으로 해서 기도의 공간이 얼마나 확장이 되어야 호흡장애가 발생하지 않을 것인지가 차이가 날 수 있거든요.
그리고 여기에 기도를 막히게 한 조직에 대한 치료를 얼마나 진행할 수 있나에 대한 판단까지 진행이 되어야 성공률이 얼마나 나오는지 알 수 있어요.
그래서 온라인 상에서는 수면무호흡증 수술 성공률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려드리긴 어렵습니다. 치료 받은 환자들을 기준으로 평균을 낼 수는 있어요. 약 70%~90%까지 나타난다고는 합니다.
그렇지만 그게 여러분 본인이 아니기 때문에 검사를 받아봐야 의료진으로부터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냥 받고 싶다고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라고 해요.
신체검사를 진행해보니 외과치료에 적합하지 않아 의료기구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으니까요.
수면무호흡증 수술 성공은 약 3개월 이후에 확인하라
외과치료들은 지금 여러분의 몸 상태에서 약간의 변형이 이뤄지는 치료방식입니다.
아마 치료를 받으셨다면 기도 주변이 예전과는 조금 달라지셨을 텐데요. 강제적인 외압에 의해 상처가 나고, 변형이 되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대한 회복을 위해서는 약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수면무호흡증 수술을 받으신 분들은 평균적으로 3개월 정도가 필요하다고 해요.
그래서 성공에 대한 판단은 최소한 3개월이 지난 이후에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요?
회복이 마무리 된 상태에서 3DCT촬영을 통해 기도공간과 치료 전 기도공간 비교를 통해서 말이죠! 이게 가장 확실한 방법 아니겠습니까? 치료의 목적은 기도확장이었으니까요.
그래서 숨수면클리닉은 평균 3개월 이후 기도 전/후 사진을 환자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기도를 부위별로 mm단위로 비교를 해드리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수면무호흡증 수술결과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치료 후 의학적 자료를 통해 실력을 평가 받겠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