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수면증 극복을 위해서는?
- 기면증-과수면증
- 2013. 12. 30. 18:52
과수면증 극복을 위해서는?
잠이 보약이라는 말을 다들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텐데요.
예로부터 내려오는 말이긴 하지만
너무 많은 잠은 오히려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과유불급이라는 단어처럼
지나친 잠은 일상생활이나 건강에 있어서
오히려 해가 될 수 있습니다.
과수면증 지금부터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과수면증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우리의 뇌부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대요.
뉴런의 상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유전자의 이상
그리고 전달체계의 문제점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방치된다면
교통사고의 위험성 및 건강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방치되는 경우 왜 교통사고와 관련이 생기는 걸까요?
우리가 인식하는 수행 능력이 보통 사람에 비해 약 7배나 저하되며
시야가 흐려지거나 물체가 두개로 흐릿하게 보이는 현상으로
신경정신적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사람보다 안전에 있어서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수면증은 의학에서는 완치법이 발견되지 않았으나
미국을 비롯한 유럽에서도 연구법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현재는 증상의 호전을 통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을 만큼
치료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과수면증의 검사로는 현재 수면질환의 대표적인 검사인
수면다원검사가 먼저 시행되며
그 다음으로 다중잠복기검사가 진행됩니다.
수면다원검사와 다중잠복기검사로 증상의 원인에 따라
뇌척수액검사까지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검사 결과에 따라 약물치료가 이루어지는대요.
주치의 처방이 없이 시중에서 구입하게 되는 약물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되지 않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과수면증은 클리닉에서 치료와 동시에 평소 생활을
개선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학생의 경우 선생님들께서 수업시간에
잠깐의 수면을 취할 수 있게 조치를 해야하며
병에 대한 상황을 숙지하고 계셔야 합니다.
직장인의 경우, 직원들에게 질병에 대한 교육과
업무능력을 적절히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적절한 휴식과 조치가 필요합니다.
하루 1-2회 정도 약 15-20분의 낮잠이 필요한 만큼
회사와 교실의 환경 변화가
동료나 친구에게 상생과 화합의 분위기는 물론
자아 평가 및 능력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이젠, 과수면증 혼자 고민하지 마시고
적절한 치료와 증상의 호전을 위해
숨수면클리닉의 문을 두드리시길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