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그 차이는?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5. 4. 17. 15:57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같을까? 다를까?
저희 병원에 코골이가 고민이 되어 내원하는 환자의 70~80%는 수면다원검사를 실시해보면 중등도 이상의 수면호흡장애 진단을 받습니다.
같기도 다르기도 한 두 질환, 과연 어떤 관계가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는 포스팅을 준비해봤습니다. 바로 시작할게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발생 이유는?
코를 고는 소리는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듯 코에서 나는 소리가 아닌, 기도가 좁은 상태에서 호흡에 의해 상기도(=후두에서 콧구멍 바닥 위치까지)가 떨려서 마찰되는 소리입니다.
해부학적 부위로 살펴보면, 연구개 목젖 뒤나 혀 뒤쪽, 편도선 등이 코골이가 생기는데 역할을 하는 부위입니다.
심한 코골이와 흔히 동반되는 수면무호흡증은 (호흡의 떨림이 심해 + 특정이유로 기도가 좁아져) 상기도 자체가 막혀 호흡이 끊어짐을 의미하는데, 수면의학에서는 수면 중 무호흡과 저호흡을 포함하여 수면호흡장애라 합니다.
수면호흡장애가 장기간 지속되면 자는 동안 호흡이 원활치않아 혈액내 산소가 부족하게 되고 이는 심장병, 뇌졸중, 각종 심혈관계 질환 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미루지말고 제때 치료받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저호흡/무호흡은 (침을 삼키거나 밥을 먹을 때처럼) 잠시 잠깐 기도가 좁아져서 발생하지는 않고, 적어도 10초 이상 호흡에 문제가 생겼을 때 나타납니다.
기도가 좁아서 발생하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코를 고는 것은 기도가 좁아짐이 순간적이지만, 무호흡(저호흡 포함)의 경우 숨구멍이 좁아지는(=막히는) 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코골이와 무호흡증의 진행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상기도 부위가 좁아지면 초기엔 호흡장애가 동반되지 않는 약한 코골이가 발생하고, 점차 코를 고는 것이 심해지면 수면저호흡이 동반되며, 시간이 지나 기도가 더욱 좁아진다면 수면무호흡증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입니다.
끝으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만 발생하는 것이 주된 특징입니다. 이 때문에 관련된 진단과 치료는 수면의학을 공부한 의료진이 있는 수면클리닉에서 이뤄지구요.
왜 수면 중에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할까요?
평상시 기도를 넓히는 역할을 하는 근육은 기도를 좁히는 근육보다 힘이 좀 더 들어가 있어 숨구멍을 늘 열려있게 하는데, 우리가 잠을 자면 상기도를 넓혀줬던 근육에 힘이 빠져 기도가 좁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수면 중 팔 다리 근육에 힘이 빠져 축 쳐지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참고] 코골이 치료법에 대한 간략한 설명
검증된 치료방법은 크게 외과적 접근방법과 비외과적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외과적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치료방법으로는 양압기(지속적 기도양압호흡기, CPAP)와 구강내장치(oral appliance)가 대표적인데, 치료효과와 폭넓은 치료대상자라는 관점에서 보면 양압기 치료에 좀 더 점수를 주는 것이 객관적입니다.
외과적 치료는 바로 수술입니다.
호흡장애가 없는 단순 코골이 환자의 경우엔 목젖/편도 등의 간단한 절제만으로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기도를 넓혀주는 '기도확장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병원(=수면클리닉)을 찾을 정도로 심각하게 코를 고는 분들은 거의 대부분 수면중 무호흡지수가 꽤 심각한 편입니다.
코골이 /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어떤 수면클리닉에서 받아야 좋을까?
다양한 원인에 의해, 복합적인 부위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의 특성상 외과적/비외과적 치료방법을 모두 고려할 수 있는 병원을 선택하는 것이 좋은데요.
다수의 수면호흡장애 치료/수술 정상화 사례를 보유하고 있는 숨수면클리닉은 미국수면전문의 시험을 통과한 대표원장님이 직접 시술하는 병원입니다.
숨구멍을 넓히는 기도확장술 모두가 가능한 병원, 코골이/수면무호흡증의 근본 원인을 없애는데 심혈을 기울이는 병원, 재발환자가 많이 찾는 숨수면클리닉,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