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이럴 때 의심해봐야~!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6. 3. 1. 08:00
아침에 일어나면 목이 탄다? 수면무호흡증!
80년대 드라마를 보면 어르신들 주무시는 머리맡에 주전자와 컵을 준비해두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었는데요, '자리끼'라고 하죠?
술을 마신 주인공 머리맡에도 어김없이 자리끼가 등장하고, 자다가 깬 주인공이 찬물 한 대접 벌컥벌컥 마신 후 정신을 차려 생각에 잠기거나 사태 파악에 들어가는 모습은 마치 오래된 드라마의 정형화된 한 장면으로 기억됩니다.
자다가 입이 마른다는 것은 어찌 보면 그럴 수도 있겠다 싶은데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입이 타는 듯이 목이 마른다면, 전날 술을 마시지 않았음에도 입 안이 바짝바짝 말라 있다면 수면장애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수면장애라고 하면 뭔가 거창한 이름일 것 같지만 사실 코골이로 인한 수면무호흡증이 해당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코골이가 심해지면서 기도가 막혀 일어나는 호흡정지 상태인데요.
수면무호흡증과 입 마름 현상은 매우 긴밀한 관계에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으시다면 일단 의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코를 심하게 골아 이로 인해에 입을 벌리고 잔다.
자면서도 몇 번씩 목이 타서 깬다.
아침에 일어나면 혓바닥이 메마른 논처럼 갈라지는 느낌이 든다.
이런 증상이 자주 혹은 매일 일어나고 있다면 수면무호흡증을 거의 100% 의심해봐야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일단 코골이 환자에게서 발생합니다.
코골이는 원래 기도가 좁아져서 생기는 마찰음인데 기도가 완전히 막히면 호흡 자체가 안 되는데 그것이 바로 무호흡증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기도는 왜 좁아지거나 막히는 걸까요?
이유는 다양합니다.
생활습관의 문제로는 술, 담배, 비만, 갱년기 호르몬 분비 이상 등을 들 수가 있고, 신체적인 문제로는 선천적으로 턱이 밀려 있거나 혀가 두껍거나 양악수술 또는 교정의 부작용으로도 생기게 됩니다.
일단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하면 정확한 검사와 상담으로 자신에게 맞는 진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장치 착용과 수술 두 가지가 있습니다.
장치는 구강내 장치와 양압기가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치는 양압기로, 수술 없이 마스크를 착용함으로써 기도 공간을 확보해주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양압기는 완치의 개념이 아니라 개선의 기능에 가까운데요, 평생 수면 중 마스크를 착용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죠.
실제 수면 중 기구 착용이 불편하거나 어려워서 적응 실패율이 매우 높아서 꾸준히 사용하기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수면무호흡증이 발견되면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정확한 상태를 파악한 후 기도를 확장하는 수술을 받는 것이 가장 근본적인 치료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좁은 기도를 확장하지 않는 이상 수면 중 숨이 멎는 위험한 증상을 멈추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환자마다 무호흡이 발생하는 원인과 부위, 증상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를 통해 진단을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중 일어나는 신체의 다양한 증상을 체크하는 것으로 코를 고는 정도와 수면중 무호흡 여부와 정도, 심전도, 안구의 움직임, 뇌파 등을 측정합니다.
수면다원검사 결과에서 유심히 살펴봐야 하는 것은 RDI, 즉 무호흡지수입니다.
RDI는 수면 중 호흡정지가 얼마나 자주, 길게 나타나는지를 측정하는 수치로서 5이상이면 수면무호흡증 판정을 받게 됩니다.
RDI 수치를 5 이하로 줄여야 정상화가 된 것입니다.
치료를 필요로 하는 중증의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을 받았다면 기도확장을 위한 시술 방법을 결정해야 하는데, 기도확장수술은 대표적으로 5가지가 있습니다.
이설근전진술, 설근성형술, 설골고정술, SMILE술, 경구개전진인두술이 그것인데요.
환자마다 코를 골게 하고, 무호흡이 생기는 원인 부위와 기도의 해부학적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정상화를 위한 정확한 치료방법의 결정을 위해서는 3DCT 촬영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술 후 자신의 RDI 수치가 얼마나 줄었는지를 직접 확인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수면클리닉에서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숨수면클리닉에서는 2016년 현재 500건 이상의 RDI 수치 공개를 통해 코골이 / 수면무호흡증 수술 전후의 변화 및 정상화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은 시급히 진료를 해야 하는 수면질환입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목이 타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주간졸림, 당뇨, 고혈압, 뇌졸중 등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질병 유발 인자이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