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의 위험성, 알고 계신가요?



코골이의 위험성, 알고 계신가요?



하루 24시간 중 7~8시간 잠을 자는 우리는 인생의 많은 부분을 잠자는 시간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잠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텐데요.


잠은 하룻동안의 피로를 풀어주고, 내 몸을 위한 충전을 하는 시간입니다.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시간인데요.


허핑턴포스트 창업자 아리아나 허핑턴(66)은 지난 4월 잠의 중요성을 강조한 「수면 혁명 (The Sleep Revolution)」이라는 책에서 '숙면이 행복과 성공의 필수 요건'이라 하며 숙면 캠페인을 펼치고 있습니다.


아리아나 허핑턴은 창업 초기 수면을 불필요한 것으로 여겨 일요일도 없이 하루 18시간씩 일하다 수면 부족으로 쓰러져 광대뼈가 부러지는 큰 사고가 있었던 일을 숙면의 중요성을 알게 된 사건으로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48분으로, OECD 평균인 8시간 22분보다 1시간 이상 부족한 최하위 수준입니다.


수면질환으로 인해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면 문제가 더욱 커지는데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등으로 인해 수면이 부족할 경우 고혈압, 당뇨, 뇌졸중, 성기능 장애 등 각종 건강상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생활 속에서도 수시로 쏟아지는 졸음, 집중력 저하 등으로 인해 교통사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지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수면장애 환자 수는 2008년 23만2천명에서 2014년 41만5천명으로, 매년 빠른 속도로 급증하고 있습니다.


수면장애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코골이'입니다.


우리나라 남성 27%, 여성 16%가 코골이를 경험하며 이 중 절반 이상이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은 '좁은 기도'가 원인이 되어 수면시 호흡에 문제가 생겨 나타나는 수면질환입니다.


코골이는 많은 분들이 코에서 나는 소리라고 생각하시는데 사실은 좁아진 기도주변의 구조물이 공기와의 마찰로 인한 진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호흡소음입니다.


이러한 상태가 심한 경우 나타나는 수면무호흡증은 좁아진 기도로 인해 정상적인 호흡이 이루어지지 않아 잠을 자는 동안 호흡이 멈춰지는 상태가 나타나는 수면질환입니다.


숨이 멈춰진 상태가 10초 이상되고, 시간당 5회 이상 무호흡 증상이 나타난다면 중증의 수면무호흡 상태라 할 수 있습니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잠을 자는 동안에도 호흡의 어려움이 없어야 체내에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활동에 문제가 생긴다면 일단 숙면을 취할 수 없게 됩니다.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면 만성 피로는 물론 고혈압이나 뇌질환, 뇌졸중, 당뇨, 동맥경화 등의 심폐혈관질환에 노출될 확률이 매우 높아집니다.


실제로 고혈압 환자 50% 이상이 수면무호흡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암의 발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간졸림증에 시달리는 50세 미만의 사람의 경우 암 발병위험이 4배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암으로 인한 사망률 또한 수면무호흡증이 심해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을 모방한 동물실험에서 쥐의 피하에 암세포를 투입하고 약 3주간 간헐적 저산소의 조건에 하루 8시간씩 노출시킨 후 암조직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정상조건에서 사육한 쥐의 암조직에 비해 간헐적 저산소에 노출시킨 쥐에서 얻은 암조직이 약 2.5배 정도 더 커짐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산소의 부족이 가져올 수 있는 치명적인 결과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평소 코골이가 심하다고 이야기를 자주 듣거나, 잠의 질이 떨어지고 만성피로, 주간졸림증에 시달린다면 반드시 수면전문병원에서 체계적인 검사를 받고 수면상태를 점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코골이/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수면질환을 결코 가볍게 넘기지 마시고, 숨수면클리닉과 검사, 치료에 관한 고민을 상담해보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