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은 양보다 질이 중요합니다!



잠은 양보다 질이 중요합니다!



잠은 오래 자면 좋을까요?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잠을 오래 잘 경우 치매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인데요.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정책학과 명승권 교수팀과 명지병원 가정의학과 김홍배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저하와의 관련성을 알아본 10편의 관찰역학 연구를 종합한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바로 '하루 수면시간이 8~9시간 이상인 사람은 7~8시간인 사람에 비해 인지장애, 치매의 위험성이 각각 38%, 42%만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다'는 것인데요.


성별, 지역별, 긴 수면시간 정도(8시간 이상, 9시간 이상, 10시간 이상), 나이, 연구의 질적 수준 및 연구디자인(환자-대조군연구, 코호트연구)별 세부그룹 메타분석 결과 또한 긴 수면시간은 치매 및 인지장애 등 인지기능 감소의 위험성을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연구 책임저자인 명승권 교수는 "잠을 오래 자는 것은 인지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질병 때문이거나 단순히 인지장애의 초기 증상일 가능성도 있다"고 하였습니다.





미국의 국립수면재단(National Sleep Foundation)은 최근 나이에 따른 적정 수면시간을 새롭게 조정하였는데요.


어린이의 경우 적정수면시간 범위 중 하한 값을 1시간 정도 낮추고(초등학생의 경우 10~11시간에서 9~11시간으로), 26~64세 성인의 경우 7~9시간, 65세 이상의 경우 7~8시간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너무 많이 자도 탈이 나는 잠, 역시 수면의 양보다는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밤새 숙면을 취할 경우 내분비계통과 면역시스템이 튼튼해지게 되어 면역력이 강해지면서 우리를 둘러싼 각종 스트레스나 병균에 맞서는 힘이 커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신경계에 쌓인 각종 노폐물을 제거되고, 재생되면서 삶의 에너지가 충만하게 되는 효과를 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뇌혈관 질환과 같은 여러 합병증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게 됩니다.


그런데,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일년동안 병원을 찾은 수면장애 환자가 72만 명을 넘어섰다고 합니다.


이는 2010년 46만 1000명이었던 5년 전과 비교해보면 약 56% 이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수면장애에는 흔히 볼 수 있는 불면증 이외에도 기면증(과다수면증), 하지불안증후군,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등 다양한 질환들이 포함됩니다.





평소 충분한 시간동안 잠을 잤음에도 불구하고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다음날에도 늘 머리가 무겁고, 만성피로에 시달리고 있다면 수면클리닉을 찾아 체계적인 검사를 통해 수면의 상태를 점검하고, 수면장애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장애 치료는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검사 시스템이 갖추어진 곳, 임상경험이 풍부한 전문의료진 포진되어 있는 곳, 정상화된 환자들이 추천하는 곳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나 수면장애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다양한 치료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수면클리닉을 찾는 것이 재발의 걱정없는 정상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