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 그 자체로도 위험하다?



코골이 그 자체로도 위험하다?



본래 무호흡증 현상 없이 단순히 코만 고는 것은 노화 현상일뿐, 질병은 아닌 것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코만 고는 것으로도 뇌 건강을 크게 악화시킬 수 있다는 국내 연구결과가 발표돼 주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50대 이상의 마른 여성에게서 더 위험할 수 있다고 하는데, 대체 코골이와 뇌 건강이 무슨 관계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순한 코골이도 위험할 수 있다!


코골이는 잠을 잘 때 공기가 호흡기를 드나들며 기도나 입천장이 떨려서 나는 소리입니다.


보통 코를 고는 것은 비만으로 인하여 목 안의 공간이 줄어 생기거나, 노화의 한 현상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또한 피곤하거나 음주 상태, 수면제 등을 복용하였을 때 증상이 심해지기도 합니다.


원래 코골이가 위험하다고 한 이유는 자다가 숨이 중간중간 끊어지는 수면무호흡증 때문입니다.


무호흡증이 동반된 코 고는 증세는 호흡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과 뇌로 가는 산소를 제대로 운반하지 못하여 심장과 뇌를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 고는 증세와 심혈관 질환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단순하게 코를 고는 것도 심장과 뇌 질환에 위협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코골이 때문에 위험해지는 경동맥과 뇌 건강


연구팀은 수면무호흡이 없으면서 코골이가 있는 사람의 경동맥 두께를 측정해봤는데, 총수면 시간의 25%, 즉 6시간 자는 사람이 한 시간 반 정도 코를 골 경우 경동맥의 두께가 10% 더 두꺼워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중등도 코골이를 갖고 있는 경우 경동맥의 두께가 0.774mm로,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약 10% 이상 두꺼웠습니다.


경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을 뇌로 보내주는 뿌리 혈관인데, 경동맥이 두꺼워졌다는 것은 그만큼 경동맥 본래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것입니다.


이 경우 산소를 운반하는 혈액이 뇌까지 충분히 전달되지 않아, 심장질환이나 뇌 질환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경동맥 두께가 0.1mm 늘어나면 5년 뒤에는 치매가 발병할 가능성이 25%나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는 만큼 뇌 건강에도 치명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경동맥이 두꺼워질 경우 뇌의 노화가 빨리 진행되어 초기 치매가 올 수 있고, 뇌졸중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코골이 예방 및 치료는 이렇게!


이렇게 위험한 코골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운동이나 금주 등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코 고는 증세로 인하여 심장질환이나 뇌질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합니다.


또한 비만으로 인한 코골이가 아닌 폐경 후 마른 여성의 코 고는 증세는 외부 공기로 숨을 쉬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양압호흡기 치료나 외과적 치료를 통해 좁은 기도를 넓혀주는 기도확장술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경동맥이 이미 두꺼워진 환자라도 개선이 충분히 가능한데, 코 고는 증상을 치료하고 소염제 치료를 받은 환자의 혈관이 다시 정상으로 회복된 사례도 있습니다.


이런 식으로 양압기나 기도확장술 같은 적절한 치료와 함께 행동요법을 병행하면 코 고는 증세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경동맥이 두꺼워지는 원인은 코를 고는 증상으로 인한 진동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사람의 코 고는 소리가 클 땐 100Db 까지도 올라가는, 이는 바로 옆에서 자동차가 지나가는 소리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이렇게 커다란 음파는 주변의 혈관을 진동시키고 염증 반응을 일으킵니다.


일시적인 코골이라면 금방 회복할 수 있지만, 10년 이상 계속되는 경우 혈관이 두꺼워지고, 혈관 지름이 좁아지는 동맥경화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 비만으로 인해 코를 고는 경우가 많으며 여성의 경우 특히 50대 이상일 때 폐경 이후 여성 호르몬이 줄어들면서 기도의 탄력성이 떨어져 코를 고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러한 증세가 의심된다면 꼭 전문적인 수면클리닉에 내원하셔서, 대부분의 수면질환을 검진하는데 필수적인 검사인 수며다원검사를 실시하셔서 적절한 치료법을 진단받으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신청)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