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의 수면트러블



여름철의 수면트러블 대처법, 숨수면클리닉 이종우 원장 『잘 자야 잘 산다 중에서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있어서 계절마다 밤과 낮의 길이, 기온이 달라진다. 빛과 온도가 잠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계절이 바뀌면 수면리듬도 흐트러지게 마련이다. 계절 변화에 따라 신체가 반응하는 것은 1개월을 주기로 하는 '인프라디언 리듬(infradian rhythm)'에 따른 것으로 계절마다 몸도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이때는 흐트러진 수면리듬 때문에 쉽게 잠자리에 들지 못해 생활에 불편을 겪을 수 있다. 특히 여름과 겨울에는 수면트러블이 많이 일어난다. 

 

 

 

(여름철과 겨울철로 나눠 두 차례에 걸쳐 포스팅 합니다) [관련글 보기] 겨울철의 수면트러블

 

 

 

 

우리나라도 점점 아열대성 기후로 바뀌고 있다. 여름이 길어지고 기온이 30도를 웃돌 때가 많아졌으며,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는 날도 예전보다 늘어났다.

 

수면은 지친 몸과 마음에 휴식을 준다. 특히 여름은 다른 계절보다 땀을 많이 흘리고 체력 손실이 큰 만큼 충분한 수면이 필요하다. 하지만 열대야가 이어지면 밤새 더위와 싸우느라 아예 잠을 포기하고 한강변 같은 시원한 곳을 찾아 맥주와 수박 등을 먹으면서 더위를 식히는 사람이 많다.

 

우리가 열대야 속에서 잠들기 힘든 이유는 체온 조절 때문이다. 체온은 24시간 주기와 잠에 의해 조절되는데, 최저기온이 25도를 웃도는 열대야가 시작되면 인체의 온도조절 중추가 각성상태에 들어간다. 그리고 기온에 적응하기 위해 계속 각성상태를 유지해 쉽게 잠들거나 깊은 잠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깊은 잠을 자야 수면부족 현상을 느끼지 않는다. 그런데 렘수면 단계에는 다른 단계보다 체온 조절을 잘 못하는 특징이 있다. 여름에는 상대 습도가 높기 때문에 발한에 의한 체온 조절이 힘들게 되고, 우리가 느끼는 체감 기온도 올라가 더욱 잠자는 데 방해를 받는 것이다. 그래서 여름철에는 자고 일어나도 잠을 설친 듯한 느낌, 지속적으로 못 잔 느낌을 받게 된다.

 

찜통더위에서 숙면을 취하려면 평속 식습관, 운동과 같은 생활 관리가 중요하다.

 

 

 

 

[열대야에 굴하지 않고 자는 법]

 

1. 더우면 좀처럼 잠들기 어렵고, 기온에 더욱 민감해진다. 이럴 때 억지로 자려고 계속 생각하면 잠이 더 달아난다. 평소와 똑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시간 흐르는 것에 신경쓰지 않도록 한다.

 

2. 에어컨 등의 냉방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호흡기 질환이 있다면 더 심해질 수 있는데, 이것이 수면을 방해하므로 호흡기 질환이 있는지 체크한다.

 

3. 너무 피곤하면 오히려 잠을 자기가 더 어렵게 된다. 특히 여름철에는 체력 손실이 큰 만큼 영양 보충을 충분히 하고 체력 소모가 큰 운동은 자제한다.

 

4. 열대야 속 인기 간식인 맥주와 수박, 차가운 음료는 자기 전에 먹는 것을 피한다. 일시적으로 체온을 낮춰 잠들게 하긴 하지만, 정작 수면을 취하는 데는 방해가 된다. 수분이 많은 과일이나 음식을 먹으면 밤새 이뇨 작용 때문에 잠에서 깨게 된다.

 

 

 

여름철의 수면트러블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상은 숨수면클리닉 이종우 원장 저 『잘 자야 잘 산다』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