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불안증후군 계속 환자 느는데 해결책은?



하지불안증후군 계속 환자 느는데 해결책은?



국내의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가 계속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건강급여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5년 이 수면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3만104명으로, 전년도인 2만7840명에 비하여 8.13%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것은 2013년 2만4509명에 비해서 5595명이나 증가한 수치입니다.


같은 증상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에서는 70대 이상의 노년층이 30.5%로 가장 많았습니다.


60대에서는 23.2%, 50대는 22.4%, 40대는 12.4%, 30대는 6.3%, 20대는 3.7%, 20세 미만은 1.5% 순으로 나와 나이가 들수록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사질환이 많아 방치되는 하지불안증후군


하지불안증후군은 하지에서 이상 감각이 나타나면서 동시에 근육경련과 불편함, 통증까지 느껴지는 증상입니다.


이 증상이 있는 환자들은 보통 잠을 잘 때 다리 쪽에 벌레가 기어가는 것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다리를 계속 움직이고 싶은 충동을 느낍니다.


하지만, 문제는 하지정맥 등과 같은 유사한 질환이 많다 보니 원활한 치료가 어렵다는 것입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수면장애에 속하기 때문에 수면관련 전문의를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낮지 않은 유병률에 비하여 생소한 질환이다 보니 잘못된 치료를 받아 증상이 심해지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위에 언급한 하지불안증만의 증세를 잘 파악하고 수면클리닉에 내원해서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하지불안증안증후군 원인은 무엇?


하지불안증후군은 50% 이상이 유전적인 성향을 보이고, 주로 30대 중반에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족력이 있습니다.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진 것은 아니나 1차적 원인은 철분부족과 도파민 부족, 유전적 소인 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 유전자와의 연관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타 혈액순환의 장애와 신경장애, 비타민, 미네랄 부족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특히 임신 6개월 이후나 철 결핍성 빈혈, 말기 신장병 등 철분결핍이나 철분부족상태면 악화의 요인이 될 수 있으며, 당뇨 등의 말초신경병 환자나 졸린 코 감기약, 항우울제, 도파민 차단 약물 등을 복용하는 것 역시 악화의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하지불안증후군이 의심될 때는 전문적인 수면클리닉에 내원해서 수면다원검사와 혈액검사 등 전문적인 검사를 거친 뒤, 적절한 치료를 실시해야 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을 치료하는 방법


하지불안증후군을 치료할 때는 주요 원인이 철분 결핍에 따른 도파민 부족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고순도 철분주사요법을 통해 부족한 철분을 보충해주면 증상이 빠르게 완화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뇌 속의 도파민 회복을 위하여 도파민효연제를 비롯한 약물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다만 약물을 과다복용하거나 도파민효연제에 과민 반응을 보이는 경우에는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도파민효연제 외에도 다양한 약물이 치료에 사용되고 있어서 난치성 하지불안증후군 화자의 치료에도 효과를 보입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은 수면을 방해하는 수면질환에 속하는 만큼, 계속 방치할 경우 불면증과 주간졸림증 등 추가적인 문제들을 유발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수면 중 간헐적인 근육 수축을 발생시키는 주기성 사지운동이 동반될 확률이 80~90%에 육박할 만큼 매우 높은데, 잠과 수면의 중간 시기에 감각 증세와 근육수축이 나타날 수 있어 불면증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하지불안증은 불안증과 우울증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는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므로, 자신에게 해당 증상이 의심된다면 꼭 전문적인 수면클리닉에 내원하시어 진단 및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코골면 숨수면, 온라인 상담 (신청)


코골면 숨수면, 전화 상담 (예약)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