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치료의 기본이 되는 두 가지 기준지표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6. 7. 12. 14:20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기본이 되는 두 가지 기준지표
흔히들 수면무호흡증 치료라고 하면 양압기를 얘기하시는 분들이 많아요.
그만큼 양압기가 일반적인 수면무호흡증 치료라는 얘기이기도 할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양압기를 이용한 치료가 그만큼 효과적이라는 말이기도 할텐데요.
실제로도 양압기는 미국 수면학회에서도 인정한 가장 효과적인 비수술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기도 하지요.
여기서 눈치가 빠른 분들은 파악했겠지만 수면무호흡증 치료에는 크게 두 가지 치료법으로 구분되는데 수술과 비수술이 그것이에요.
비수술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기구장치를 이용한 치료법으로 그 대표적인 것이 앞에서 언급한 양압기와 구강내 장치에요.
수면무호흡증은 기도가 좁아진 탓에 발생한 질환인 만큼 수술을 통해, 또는 기구를 이용해 기도를 정상인만큼 넓혀 호흡에 문제가 없도록 해주는 데 있어요.
그래서 이러한 치료를 위한 수술치료법을 기도확장술이라고도 지칭해요.
이러한 기도확장술에는 과거와 같은 양악수술이 아닌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서 턱이나 혀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혀의 볼륨을 축소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한 5가지 수술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어서 훨씬 안전하고 빠른 치료를 기대할 수 있어요.
장치를 이용한 수면무호흡증 치료는 양압기 외에도 구강내 장치가 이용되는데 구강내 장치는 치과에서 틀니를 맞추듯이 본을 떠서 각 개인에 맞게 제작하는 입안 장치로 경증 무호흡증이나 호흡장애가 없는 코골이 환자에게 주로 이용되는 치료법이에요.
반면 대표적 치료법인 양압기는 중증수면 무호흡환자나 심혈관 합병증이 의심스러운 환자, 고도비만 환자들에게 적합한 치료 기구로 특별히 고안한 마스크를 통해 기도 안으로 압력을 불어넣어 수면 중에 기도가 좁아지거나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이에요.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환자 대부분이 거의 중증인 환자들인 까닭에 비수술 치료로 양압기가 주로 이용되는 이유이기도 해요.
문제가 되는 정확한 부위의 빠른 치료가 가능한 수술에 비해 기구 장치를 이용한 치료는 수술 없이도 치료가 가능하고 치료 효과 또한 높은 것이 사실이지만 가장 큰 관건은 착용하는 만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데 있어요.
그렇지만 아무래도 수면 중에 항상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나 소음으로 인한 수면방해. 복부팽만 등의 크고 작은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므로 효과에 대한 기대가 평만큼이나 높지가 못한 것이 사실이지요.
외국의 한 연구 조사에서도 양압기를 이용한 환자들이 양압기 착용 실태 비율은 40-80%로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의 경우엔 그 보다 더 낮을 것이라고 하니까 어림잡아도 50% 이상은 치료 실패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에요.
따라서 그저 효과가 높다는 말만 듣고 치료를 결정할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면무호흡증 치료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확인하고 자신에게 가장 적절하고 접합한 방법을 소개받고 선택해서 결정해야 하지요.
그런데 여기서 하나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내용이 있어요.
수면무호흡증 치료에 있어서 정상인의 기도 크기만큼 기도를 넓혀주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라고 했을 때 무엇을 기준으로 한 어느 정도의 상태를 말하는 것일까요?
여기에는 검사를 통한 두 가지가 기준이 되는데 그 중의 하나는 수면무호흡증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수면다원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RDI 수치에요.
RDI 수치는 저호흡과 무호흡 등을 포함한 호흡지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사를 통해 수치가 5이상인 경우 호흡질환으로 구분하지요.
따라서 정상과 호흡질환자의 구분은 수치 5를 기준으로 구분되므로 정상인의 크기만큼, 또는 정상화라고 할 때 RDI 수치로 5이하를 의미해요.
다른 하나는 3DCT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3DCT 검사는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나 상태를 CT사진을 통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만큼 기도의 어떤 부위가 어느 정도나 좁혀져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요.
정상인의 경우라면 3DCT를 통해 볼 수 있는 기도의 굵기는 가장 좁은 부분이라고 해도 7-10mm이상이므로 마찬가지로 치료를 통해 그 보다 좁은 환자의 기도를 치료를 통해 최소 7-10mm이상으로 확장시켜야 하지요.
특히 3DCT사진은 수면무호흡증 치료 중 수술치료를 위한 필수적인 자료로 환자마다 서로 다른 기도의 정확히 어느 부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그에 필요한 맞춤 시술이 가능할 수 있어요.
환자가 외과적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받았다면 치료 후 정상화가 되었는지의 여부는 3개월이 지난 후 확인이 가능한데 이때 환자 스스로도 확인이 가능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이 바로 두 가지 기준이 되는 RDI수치와 3DCT로 확인되는 수치에요.
RDI, 3DCT는 질환의 유무는 물론, 상태의 정도치, 치료방법의 선택은 물론 모든 수면무호흡증 치료가 끝난 후 정상화 확인의 근거자료가 되는 만큼 수면무호흡증 치료 이상으로 중요한 가장 중요한 지표이자 자료가 되는 것이에요.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