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과 수면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6. 8. 30. 14:12
수면무호흡증과 수면
흔히들 '잘 먹고 잘 자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 이란 말도 있듯이 사는 모습이나 생활이 복잡하고 바빠질수록 이러한 기본적인 것들이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 같아요.
특히 비교적 최근 대두되기 시작한 수면의학이나 이와 관련된 여러 질환들에 대한 정보와 주의, 연구들을 보게 되면 우리 생활과 건강에서 잠이란 것, 특히 좋은 수면이란 것이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 새삼 또 알게 되는데요,
이러한 수면의학과 관련된 연구 대부분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그것으로 인한 조기사망률의 연관 관계 등에 대한 것들이라고 해요.
그렇지 않아도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위험이나 그 증상들에 대해 많이 알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저 단순히 수면질환으로서 수면무호흡증이 위험하다고 알고 있기 보다는 무엇 때문에 그러한지, 수면과 호흡의 연관관계에 대해 알고 있다면 그에 대한 주의든, 이해는 물론이고 치료에 도움이 될 것 같지요.
그렇다면 수면 상태에서 우리의 호흡은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호흡활동은 기본적으로 뇌에서 신경근육을 통해 상기도, 흉벽, 폐 횡격막 활동을 조절하는 아주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나요.
뇌가 자극을 전달해서 기도, 횡격막 등이 반응하게 되면 동맥혈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에 변화가 생겨서 우리 몸에 적당하도록 수치 조절이 이루어져요.
그런 다음 경동맥과 인두에서 횡격막까지의 호흡기에 분포된 특정센서가 가스교환율을 모니터하여 뇌로 보내면 뇌에서 다시 이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자극을 돌려보내지요.
이때 뇌의 호흡조절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라고 할 수 있어요.
우리가 보통 산소포화도라고 할 때 이것은 적혈구에 포함된 산소의 양을 말하고 산소포화도란 적혈구에서 헤모글로빈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지요.
만약 적혈구 속의 헤모글로빈의 비율이 떨어지게 되면 저산소증, 저산소혈증이라고 해요.
한편 우리의 수면은 기본적으로 정수면과 램수면이라고도 얘기되는 신속안구운동수면 두 단계로 나뉘는데, 이러한 수면은 무수히 많은 감각기관, 수용체, 호르몬, 자율신경계, 뇌 및 신체 기관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되요.
그래서 정상적인 수면을 가질 경우 이러한 많은 기관들과 연관 반응을 하며 정수면, 신속안구운동수면으로 나타나요.
정수면은 얕은 수면으로부터 네 단계의 깊은 수면으로 진행되는 과정을 거치며 신속안구운동수면상태에서는 불규칙한 호흡, 혈압 및 심장 박동을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얼마 동안은 호흡 저하 또는 일시적 무호흡증이 나타나기도 해요.
이때 뇌파 검사를 해보게 되면 신속안구운동수면에서는 뇌파활동이 깨어있을 때와 유사하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정수면과 신속안구수면이 나타나는 비율은 매 수면시마다 다르며, 대부분 수면의 마지막 단계에서 일어나는 신속안구운동수면 단계 역시 매 수면 시 마다 달라질 수 있어요.
이런 변화는 각 기관의 상호작용, 호르몬, 근육 긴장, 수면 단계 및 자율신경계의 변화 등 그 모든 것들이 복잡하게 얽혀 그것들의 생리적 균형을 통해 이루어져요.
또한 수면 중에는 일반적으로 교감신경의 긴장이 감소되고 부교감신경 긴장이 증가하는데 이런 변화는 심장박동, 혈압, 심장박출량의 감소를 가져와요.
이렇게 심장활동 및 산소요구량의 감소하게 되면 이로 인해 부정맥의 횟수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는 수면의 심장 보호기능이기도 해요.
그런데 만약 이때 수면무호흡증을 가지고 있다면 이런 효과에 대한 손실을 가져올 수 있어요.
수면무호흡증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란 수면 중 공기의 흐름의 중지를 동반하는 정상적인 호흡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때 공기의 흐름을 중지하는 원인은 공기통로가 되는 기도가 좁아졌거나 막히기 때문이에요.
그와 같은 원인들 중 70% 이상을 차지하는 수면무호흡증의 주요인은 비만으로 주로 목이 짧은 사람들에서 나타나는 좁고, 막힌 비강이 기도폐쇄를 쉽게 일으킬 수 있어요.
그 외에도 약물 중독, 과도한 음주, 중추 제어의 오류 등으로 인해 구강 및 인두 근육의 긴장이 부적절하게 되면, 기도가 제대로 열리질 않게 되고 폐쇄가 일어날 수 있어요.
이런 원인과 이유로 생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수면무호흡증 여부나 정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수면다원검사가 필요하고, 또한 해부학적 구조를 통해 문제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3DCT검사도 필요하지요.
특히 3DCT검사는 수면무호흡증을 일으키는 정확한 문제 부위와 정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기도확장술 치료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줘요.
다른 치료에 앞서 빠르고 정확한 수면무호흡증 치료방법일 뿐 아니라 정상화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이기도 하기 때문이에요.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