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꿀잠지킴이 2019. 5. 23. 15:14
국내에서 코골이를 다루는 병원은 매우 다양하고, 그만큼 수술법도 굉장히 다양합니다. 하지만 뉴스기사 등을 통해 한번쯤 보셨겠지만, 별다른 정보 없이 아무 치료나 받았다가 질환이 재발한 사례가 굉장히 많습니다. 안전한 치료법을 찾기 위해서는 코를 고는 근본적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지, 코 고는 소리 자체만 제거하는 것이 아닌 함께 동반되는 합병증들이 해결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것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을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안전한 코골이수술방법은 무엇일까? 크게 일반적인 치료와 기도확장이 가능한 치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수술법으로는 목젖 및 연구개 일부분을 치료하거나, 편도선 혹은 목젖 절제술, 연구개 성형술 등을 병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꿀잠지킴이 2019. 5. 21. 11:45
코를 고는 분들이라면 한 번쯤 외과치료에 대해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텐데요. 치료효과에 대해 여러 의견이 나오는 만큼 어떤 말이 진짜인지 혼란스럽습니다. 왜냐하면 코고는 문제를 해결하는 외과적 수단이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외과치료에 대한 이야기를 살펴볼 때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환자마다 각각 다른 방식으로 외과적 조치를 취했는지도 살펴보아야 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골이수술방법 달라야 효과가 좋다 코를 고는 근본적인 원인은 수면 중에 기도가 지나치게 좁아지는 것에 있습니다. 기도는 코에서 들이마신 공기가 폐까지 이동하는 통로역할을 합니다. 심하게 좁은 기도를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구개 등 주변 구조물과 부딪혀 진동하는 소리가 발생하..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꿀잠지킴이 2019. 5. 13. 15:41
코골이치료를 받아야 한다면 어느 병원에 가야 후회없이 좋은 선택이 될까요? 내 건강에 관련된 문제이니 신중하게 고민하실 수밖에 없죠. 흔히 환자분들께서 토로하시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도대체 코골이수술가격은 얼마인건가요? 인터넷에선 정확한 금액을 알려면 문의하라는 이야기만 있어요." "치료방법은 다 똑 같은 것 같은데 병원마다 가격이 크게 다른 것 같은데요." 코를 고는 것이 건강에 적신호라는 사실은 알아도 선뜻 병원부터 갈 수 없게 만드는 가장 큰 요인이 바로 금액이 비싸다는 것입니다. 옷을 사고, 빵을 사더라도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정확한 가격을 알 수 있는데 왜 코골이수술가격은 정확하게 알려주지 않는걸까요? 속시원하게 얼마입니다, 하고 써져 있는 곳이 없어 답답하셨죠.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꿀잠지킴이 2019. 4. 24. 15:32
오늘은 코골이/수면무호흡증의 외과적 치료방법 중 주목받고 있는 기도확장수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원리로 치료되는 것인지,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왜 대세라고 다들 이야기하는지 하나하나 따져보겠습니다. 기도확장수술의 필요성? 코를 골게 되는 그리고 무호흡이 생기게 되는 거의 대부분의 원인은 바로 좁은 기도 입니다. 좁아졌을 수도 있겠구요. 원래부터 턱이 좁거나 밀려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갖고 성장하여 기도가 좁은 분들이 있고, 살이 쪄서 그 원인으로 인해 혀에 살이 쪄서 또는 기도 주위에 살이 붙어 후천적으로 좁아진 경우도 있습니다. 비만으로 인해 기도가 좁아진 분들의 경우엔 나이가 들면 들수록 기도 주변 근육의 탄력이 점점 떨어져 더욱 심하게 코를 골고, 무호흡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코골이-수면무호흡증/수술적치료 꿀잠지킴이 2019. 4. 17. 09:00
수면의 질은 삶의 질을 결정한다는 건 모두가 느끼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수면장애로 고생을 하면서도 실제 치료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지 않은데요. 전 세계 인구 약 1억명 이상이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등의 수면장애로 수면의 질이 떨어짐에도 이 중 90%는 치료를 받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닙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수면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는 2013년 38만686명에서 2017년 51만 5천 326명으로 30%나 증가했다고 합니다. 2017년 수면장애 환자 중 수면무호흡 환자는 3만 1천 377명으로 수면장애의 8.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기영 서울의대 신경과 교수는 "수면은 뇌 속 노폐물과 대사 산물이 빠져나가도록 하는데 제대로 수면하지 못하면 뇌에 노폐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