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코골이, 우리 아이는?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7. 3. 15. 17:42
소아코골이, 우리 아이는?
새 학기가 시작된 지 2주가 지났습니다.
새로운 교실, 새로운 친구, 새로운 선생님에게 적응하고, 이제 긴장이 풀어지면서 아픈 친구들도 있습니다.
일교차가 심한 날씨도 아이들 건강에 안좋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잘 먹고, 잘 자는 규칙적인 생활로 아이들 건강을 잘 지켜야겠습니다.
많이들 알고 계시듯 아이들 건강에는 잘 자는 것이 참으로 중요합니다.
그런데 가만히 아이가 잠자는 모습을 지켜보면 의외로 코를 고는 아이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실제로 소아코골이는 어린이 10∼25%에서 나타나는 아주 흔한 수면질환입니다.
코가 좀 막혔나? 오늘 좀 피곤했나 하고 그냥 넘기기에는 코를 고는 것으로 인한 부작용이 상당하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소아코골이는 아이들의 성장과 밀접과 연관이 있기 때문인데요.
특히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날 경우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코를 심하게 골거나 입을 벌리고 잠을 잘 경우 잠버릇이 험한 경우, 자면서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다른 아이에 비해 체구가 왜소할 경우, 짜증을 잘 내고 산만할 경우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이란 수면 중 호흡이 일시적으로 멎거나 불규칙해지는 수면장애입니다.
어른에게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에게도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이 나타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지만, 아이들의 경우에는 편도선 및 아데노이드 비대에 의해 기도가 좁아져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수면 중 수면무호흡증이 있을 경우, 신체 발육 저하 및 성장 장애, 학습 장애 등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문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로 인해 혈중 산소 포화도가 떨어지면서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고 방치될 경우,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서 성장 호르몬 분비에도 악영향을 끼쳐 성장에 문제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증상만으로는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면전문병원에서 체계적인 검사를 받고 전문의의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장 필수적인 검사는 수면다원검사입니다.
수면다원검사는 통증없이 실시되는 검사로 밤에 잠을 자는 동안 몸에 붙여진 센서를 통해 수면 중의 두뇌활동(뇌파), 안구 움직임(안전도), 팔다리 근육 움직임, 심전도, 복부와 흉부의 호흡운동, 산소포화도, 코를 코고는 소리 등 수면 중에 일어나는 다양한 신체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게 됩니다.
특히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확인된 RDI(수면무호흡지수)는 수면 중에 코를 골면서 시간당 호흡장애가 얼마나 발생했는지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치료방법을 결정하고, 치료 이후 정상화를 비교판단하는 기준이 되기도 합니다.
검사는 병원 수면검사실에서 이루어지는데, 아이 혼자 잠을 자는 것이 어렵다면 보호자가 함께 검사실에서 잠을 잘 수 있기 때문에 마음놓고 검사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아직 어리니깐 괜찮겠지하고 넘어가기에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소아코골이.
소아코골이의 원인이 구개편도선 및 아데노이드 비대 등 신체 구조상의 문제라면 적극적으로 수술적인 방법으로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검사를 받을 때부터 신뢰할 수 있는 병원을 선택해, 검사 진단 치료의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 아이 소아코골이, 더 이상 방치하지 마시고 숨수면클리닉과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