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골이무호흡, 증상이 의심된다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 코골이-수면무호흡증
- 2019. 2. 20. 12:14
일찍 잠자리에 들어 꽤 긴시간 잠을 잤는데도 불구하고 다음날 여전히 잠 기운이 가시지 않아 커피만 연신 마시고 계시진 않은가요?
종일 졸린 상태가 지속되면서 집중력이 떨어져 공부나 일에 집중할 수 없다면 수면장애를 의심해보아야 합니다.
코골이무호흡으로 인한 주간졸림증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자는 동안 수면무호흡 증상이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잠을 아무리 자도 낮에 졸린 경우
피로한 증상이 계속해서 나타나는 경우
집중이 잘 되지 않는 경우
수시로 짜증이 나고 타인에게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우
수면 중 수시로 깨는 경우
코골이는 자는 동안 좁아진 기도로 공기가 통과하면서 나는 호흡잡음입니다.
수면 중 숨을 쉴 때 좁은 상기도에 공기가 드나들면서 연구개, 혀뿌리 등을 떨게 하는데 이것이 바로 코 고는 소리입니다.
기도가 좁아진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된다면 수면 중 호흡이 불규칙해지거나 일시적으로 멈추기도 하는데 이것이 바로 수면무호흡입니다.
그런데 코골이무호흡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만성피로, 주간졸림증에 시달리는 건 오히려 사소한 일일 수 있습니다.
그보다 더 심각한 것은 위험한 질환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수면 중 호흡이 끊어지면 혈중 산소량을 감소시켜 심박수와 혈압이 급격히 증가하게 됩니다.
이런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될 경우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이 증가되는데, 이 호르몬은 장기적으로 혈압을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 수면의학학회의 티모시 모르겐탈러 박사는 "고혈압 환자의 약 1/3, 그리고 치료가 힘든 저항성고혈압 환자의 약 80%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앓고 있다"며 "이를 치료하기 위해 고혈압을 가진 사람들은 수면시 무호흡 위험에 대해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고 충고한 적이 있습니다.
이는 고혈압의 원인이 수면무호흡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지적한 것인데요.
고혈압 약을 복용하고 있지만 혈압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해야합니다.
또한 수면 중 호흡이 끊어지면 혈중 산소량이 줄어들어 뇌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뇌졸중 발병률이 4~8배가량 높아진다고 합니다.
코골이무호흡 증상이 있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 규칙적인 생활을 기본으로, 베개를 바꿔보고, 잠자는 자세를 바꿔보세요.
그럼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수면클리닉을 찾아 체계적 검사를 받고, 검사결과를 토대로 한 의료진의 진단에 따라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병원을 결정할 때는 체계적 검사시스템을 갖춘 곳인지, 환자에게 다양한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각 치료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곳인지, 다양한 수면장애 치료가 가능한 곳인지, 치료 후 정상화에 대한 근거를 환자에게 공개하는 곳인지 꼼꼼하게 따져보는 곳이 중요합니다.
코골이무호흡 치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양압기 착용과 기도확장수술이 대표적 치료법인데요.
치료 방법은 검사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여 의료진이 추천하게 되지만, 최종 선택은 환자의 몫입니다.
각각의 치료법의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인데요.
먼저 양압기의 경우 평생 꾸준히 착용해야 효과가 있습니다.
순응률이 생각보다 높지 않지만 환자의 꾸준한 노력이 있다면 매우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는 코골이무호흡 치료방법입니다.
양압기 착용 전 자신에게 적합한 압력을 맞추는 양압적정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며 꾸준한 장치 관리는 필수입니다.
보다 근본적 치료로 질환 발생 원인을 뿌리까지 없애고 싶은 분들에겐 외과치료 중 기도확장수술을 추천드릴 수 있습니다.
몸에 칼을 대는 치료인만큼 3DCT 촬영을 통해 환자의 기도 상태와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환자에게 최적화된 방법으로 치료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외과적 치료에 대한 부담이 없을 수 없기 때문에, 기도확장술에 대한 전문성과 풍부한 임상경험을 갖춘 의료진의 선택은 그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온라인 상담이나 전화상담을 이용하시면 편리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