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3. 12. 18. 17:30
소아코골이수술과 소아 수면무호흡증 해결이 중요합니다 최근 부모님들께서는 소아코골이와 소아 수면무호흡증으로 걱정을 많이 하시는대요. 소아코골이가 있는 아이들이 전체의 10-12% 정도 되며 그 중에서 20-30% 비중의 아이들이 소아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고 있다는 연구결과 때문인 것 같습니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만큼 사랑스러운 내 아이가 소아 수면무호흡증과 소아코골이수술이 필요하다면 부모님들께서는 더욱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실 것 같습니다. 소아 수면무호흡증과 소아코골이수술의 필요성은 어떤 원인으로 생기는 걸까요? 알레르기성 비염, 소아 비만, 부비동염 등 호흡에 관련된 질환과도 연관성이 있지만 어린이들은 무엇보다도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편도 및 얼굴과 구강구조의 변화로 어린이의 작은 기도는 호흡이 ..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3. 12. 10. 15:13
어린이코골이수술은 역시 숨수면클리닉 오늘의 포스팅은 어린이코골이수술의 원인과 필요성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잘 알고 계시겠지만 우리 주변에는 코골이로 인해 고민하고 있는 분들이 꽤 되는데요. 혹시 어린이코골이도 존재한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어린이의 작은 코는 축농증 만으로도 호흡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되는대요. 급격하게 성장하는 어린이의 편도와 아데노이드(얼굴 및 구강구조의 변화)로 어린이 기도의 크기는 좁아서 호흡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그 밖에 알레르기성 비염, 부비동염, 소아비만 등 어린이코골이수술 전 발생되는 어린이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은 설상가상이 되고 있습니다. 어린이코골이수술은 조기에 발견하여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아이들의 경우 성인에 비해 수면무호흡시간이 짧..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3. 12. 9. 18:29
어린이코골이치료는 숨수면클리닉에서 해결하세요. 코골이치료는 성인들에게만 해당되는 질환으로 알고있는대요. 어린이도 코골이를 하고 질환에 따라 어린이코골이치료를 받아야 된다는 사실 들어보셨나요? 통계에 따르면 어린이코골이에 해당되는 아이들은 전체 약 10-12%에 해당되며, 어린이코골이로 코를 고는 아이들의 약 20~30%가 어린이수면무호흡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인의 경우 코골이증상이 비만, 기도주변 근육의 탄력저하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지만 어린이코골이는 편도부위나 얼굴 및 구강구조의 변화(아데노이드)의 비대현상 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부모님들께서는 아이들의 수면 상태 및 코골이양상, 수면무호흡증 유무에 시간투자를 하신다면 어린이코골이치료 미리 예방이 가능 하겠죠?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체크하시..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3. 12. 9. 14:02
수면장애 원인에 따른 치료법 알아보기 수면장애라고 하면 가장 먼저 불면증을 떠올리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하지만 단순히 잠을 못 이루는 증상뿐 아니라 잠을 자고 나서도 피로감이 있거나 낮에도 졸림 증상이 계속되는 경우도 수면장애에 해당됩니다. 오늘은 우리의 수면을 방해하는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알아 볼게요. 1. 코골이 / 수면무호흡증 코고는 소리 때문에 잠을 방해받은 적은 있지만코골이가 수면장애의 원인이라니, 선뜻 이해가 가지 않으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하지만 코를 곤다는 건 호흡 상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이런 증상은 곧 수면무호흡증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치료를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원인을 알아보고환자에게 적합한 방법(기도확장수술이나 양압기, 구강내장치)을 ..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3. 8. 12. 07:00
몽유병과 혼돈각성, 야경증에 대하여 알아보자 숨수면클리닉 이종우 대표원장님의 '잘 자야 잘 산다'에서 수면각성장애에 대한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 일부 내용을 발췌하여 옮겨봅니다. 수면습관부터 최신 치료법까지, 현대인을 위한 활력 충전 쾌면 바이블로 불리는 이 책에서는 이론 중심 보다는 4만 명의 환자를 진료하며 확립한 치료법과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수면의 질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혼돈각성 수면각성장애 중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게 '혼돈각성'이다. 자고 일어났을 때 주위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거친 행동을 하거나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나중에 정신이 들었을 때는 자신의 행동을 기억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5~15분 정도 지속되지만 더 오래 나타날 수도 있다. 주로 소아와 35세 미만의 성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