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다원검사 꿀잠지킴이 2015. 8. 17. 15:37
간밤에 시원한 비가 한 차례 내리더니 새벽에는 선선한 바람이 불었습니다. 시원해진 지난 밤, 안녕히 주무셨나요? 아직 매미 소리는 울어대고, 한낮의 무더위는 남아있겠지만 이제 이 여름도 얼마 안남은 것 같습니다. 유난히 뜨거웠던 여름, 건강히 잘 나셨는지요? 산으로, 바다로 즐거운 휴가를 보내고 오셨을텐데요. 이제는 들뜬 몸과 마음을 조금 가라앉히고, 우리 몸을 좀 돌아봐야 할 시간은 아닌가 싶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잠을 자도 개운하지 않고, 몸이 너무 무겁다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저 피곤해서 그런가보다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우리 생활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잠에 문제가 있다는 생각안해보셨나요? 우리 잠을 방해하는 수면질환을 없는지 한번 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드르렁..
수면다원검사 꿀잠지킴이 2015. 7. 29. 11:57
오랜만에 대학동창들을 만났습니다. 한참만에 만났어도 어제 만난 듯 반가운 친구들이지요. 넌 어쩜 하나도 안변하고 그대로니~라고 하는 우리는 이제 불혹을 훌쩍 넘은 중년들이 되어버렸네요. 오랜만에 만나 이런저런 사는 이야기를 나누다가 헤어지면서 누구랄 것도 없이 모두들 아프지 말자, 건강하자. 이런 말들을 서로 주고 받았습니다. 편안한 잠을 이루지 못하는 친구, 수면다원검사를 알게 되다 수면검사를 이야기하겠다고 하고선 왠 대학동창들 만난 이야기냐구요? 오랜만에 만난 대학동창 중에 유독 피곤한 기색이 역력한 동창이 있어 이야기를 들어보니 숙면을 못 취해 그렇다는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평소 코골이가 심해서 잠자리에 드는 밤마다 가족들의 핀잔을 듣곤 했다는 그 친구는 올해 들어 부쩍 집중력도 떨어지고, 늘 피곤..
수면다원검사 꿀잠지킴이 2015. 7. 7. 16:31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에게 수면다원검사는? 우리가 정기적으로 받는 건강검진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물론 수면다원검사라는 것이 건강검진처럼 1~2년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받아야 되는 검사는 아닙니다. 하지만 코를 골면서 무호흡증이 동반되는지 이 검사를 통해 파악하지 못한다면, 그로 인해 그저 단순한 소음으로 인식하여 치료없이 방치된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그 어떤 위중한 질환 못지않게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을 10년간 치료없이 방치하면 사망률이 35% 정도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가 괜히 나온 것이 아닙니다. 코골이의 소음이 주는 우스꽝스런 선입견에 묻혀 심각성을 몰랐을 뿐이지 서구에서는 이미 수면무호흡증을 중요한 질환으로 취급한지 오래되었습니다. 무호흡의 여부와 정도를 파악하려면 필..
수면다원검사 꿀잠지킴이 2015. 7. 6. 15:26
여름휴가 때 수면다원검사 받아보세요~ 언제 휴가를 낼까, 휴가 때 어디로 갈까 즐거운 고민이 시작되었어요. 메르스 때문에 조금은 조심스러웠던 마음들도 이제 조금은 안심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여름휴가를 즐길 수 있게 되었네요. 그런데, 휴가 때 어디론가 떠나는 것도 좋지만, 그동안 미뤄놓고 하지 못했던 일들을 하나둘씩 실천하는 것도 휴가를 알차게 보내는 좋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여름휴가 때 수면다원검사 받기~ 여름휴가 때 이루고 싶은 나만의 버킷 리스트. 그 첫 번째로 무심했던 내 몸 돌아보기, 어떠세요? 그 중에 하나, 숙면을 취하지 못해 늘 힘들었던 내 몸. 도대체 그 원인이 무엇인지 제대로 점검해보기 위한 첫걸음, 바로 수면다원검사를 받아보는 거죠. 평소 불면증을 앓고 있거나, 잠을 잤는데도 ..
수면다원검사 꿀잠지킴이 2015. 6. 10. 11:40
코를 심하게 곤다면 수면다원검사를 받아보세요. 만 40세가 되면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게 됩니다. 제 가까운 지인들도 만 40세가 되는 사람들이 있어 올해 병원에 가서 건강검진을 받을꺼라고 하더라구요. 마냥 젊음으로 건강을 과신했던 시기가 지난 거죠. 건강검진으로 내 몸 상태를 정확히 알고, 나에게 필요한 적절한 생활습관, 운동, 식생활, 때로는 치료까지 놓치지 않는다면 더욱 더 활기차게 40살 이후의 삶을 보낼 수 있게 되겠지요. 그뿐이 아니예요. 속이 좀 아프고, 위가 쓰리다는 느낌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있다면 위내시경 검사를 잘 하는 병원이 어디인가 검색하게 되고, 주변에 수소문을 하게 되지요. 이왕이면 검사를 잘 한다고 소문난 곳, 믿을 수 있는 경력의 의사를 찾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인 것 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