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7. 2. 2. 08:00
수면장애 두 명 중 한 명이 시달린다 최근 국내 성인 가운데 2명 중 1명은 불면증 등의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인들이 제대로 잠을 자지 못한 주된 원인은 스트레스와 통증이었습니다. 모 병원에서 성인남녀 118명을 대상으로 통증과 수면장애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는데, 그 결과 응답자의 47%가 잠을 설치거나 불면증에 시달리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이유로는 걱정 등의 극심한 스트레스가 45%로 가장 많았으며 척추, 관절, 근육 등 몸의 통증이 20%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불편한 잠자리와 우울감 등도 12%의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수면장애의 종류와 증상 일반인들에게 가장 익숙한 수면장애인 불면증은 잠 들기 어렵거나, 쉽게 깨거나, 아침 일찍 깨어나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7. 1. 25. 16:07
수면시간과 시력장애와는 상관관계가 있다! 잠을 적게 자거나 많이 자는 것이 시력과 상관관계가 있을꺼라고 생각해본 분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것 같은데요. 주천기·안영주 서울성모병원 안센터 시과학연구소 교수팀은 만19세 이상 1만6천374명(남자 6천959명·여자 9천415명)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시행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수면시간과 시력장애의 상관관계를 비교, 연구한 결과, "적정 수면시간 7시간보다 적게 자거나 많이 자게 될 경우 시력장애의 위험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에 따르면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인 그룹보다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그룹은 시력장애 위험이 3.23배 높았으며,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인 그룹은 ..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7. 1. 19. 08:30
수면클리닉비용, 수면의 질을 높여라!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보면, 수면장애 진료를 받은 국내 환자는 최근 5년간 41% 증가했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45만 6천여 명이 치료를 받았습니다. 수면의 질은 건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치료를 결심하는 분들이 더욱 늘고 있습니다. 수면클리닉비용을 내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죠. 깊은 잠을 위해 기꺼이 지갑을 여는 이유, 그리고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수면클리닉비용을 내는 사람들 2016년 OECD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41분으로 34개 회원국 중 최하위인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잠자는 시간이 부족한 바쁜 현대사회에서, 같은 시간을 자더라도 숙면을 취하는 것은 그만..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7. 1. 16. 16:09
잠은 양보다 질이 중요합니다! 잠은 오래 자면 좋을까요?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잠을 오래 잘 경우 치매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인데요.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암관리정책학과 명승권 교수팀과 명지병원 가정의학과 김홍배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수면시간과 인지기능 저하와의 관련성을 알아본 10편의 관찰역학 연구를 종합한 메타분석을 바탕으로 이와 같은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바로 '하루 수면시간이 8~9시간 이상인 사람은 7~8시간인 사람에 비해 인지장애, 치매의 위험성이 각각 38%, 42%만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진다'는 것인데요. 성별, 지역별, 긴 수면시간 정도(8시간 이상, 9시간 이상, 10시간 이상), 나이, 연구의 질적 수준 및 연구디자인(..
기타 수면질환 꿀잠지킴이 2017. 1. 12. 08:00
수면클리닉비용, 평생의 잠을 위한 투자! 사람이 살면서 자는 잠의 양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보신 적이 있습니까? 보편적으로 한 사람이 인생을 살아가면서 잠자리에 보내는 시간은 무려 삶의 1/3을 차지한다고 합니다. 어찌 보면 우리가 살아가면서 하는 모든 행위 중 가장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많은 시간을 잠으로 보내는 것이 아깝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잠은 사람이 살아가는데 있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자는 동안 뇌의 활동이 감소하고, 심박이 느려지며, 호흡횟수가 줄고 팔다리 근육은 충분히 이완되는 동안 상태에 접어듭니다. 그야말로 우리 몸이 완벽한 휴식 상태로 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우리에게 어떤 수면장애가 있다면 충분한 시간 동안 잠을 자도 이러한 ..